건강

혈관을 딱딱하게 만드는 음식

건강챙겨주는언니 2022. 5. 27.
반응형

우리 몸에서 혈관은 정말 중요한 부분일 것입니다. 우리 몸에 모든 곳에 퍼져있고, 여러가지 성분을 나르는 통로이기도합니다. 하지만, 계속되는 안좋은 식습관때문에 혈관의 문제가 많이 생기고 있습니다. 그 중 혈관이 딱딱해지는 문제가 있는데요, 이러한 현상은 왜 생기는 것일까요?

혈관이 딱딱해지는 이유

최종당화산물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것은 단백질과 당을 고영로 가열하면 생기는 것으로, AGEs(최종당화산물) 또는 Glycotoxin(당독소)라고 합니다. 특정 효소와 작용해서 당과 단백징을 결합시키는 것이 아닌, 열이 직접 결합시키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이 몸에 들어오면 어떤 반응을 일으킬까요? 먼저 당독소가 어떻게 우리 몸에 들어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음식을 통해서 체내로 들어오는 당독소

120도 이상의 온도로, 특히 건열(직화)로 고기를 요리했을때 당독소가 많이 생성됩니다. 직화로 고기를 구울때 생기는 마이야르반응입니다. 노랗게 갈변하게 되는데, 이 것이 당독소가 만들어지는 반응입니다.

2. 체내에서 만들어지는 당독소

탄수화물이나 당을 많이 섭취하게 되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있을때, 우리몸에 있는 체온과 단백질, 떠돌아다니는 당이 만나 최종당화산물을 만들어내기도합니다.

이렇게 만들어져서 우리몸에 들어온 당독소는 어떤 영향을 줄까요?

당독소는 단백질, 즉 혈관과 잘 결합을 하는데, 결합후 단백질(혈관)의 유연성을 떨어트린다고 보시면됩니다.
당독소는 장에서 흡수되어 혈관을 떠돌아다니면서 혈관과 결합을 하고, 혈관을 경화시킵니다. 그렇게 되면 뇌혈관, 눈혈관, 심장, 신장에 붙어 경화시키고 염증 유발을 하고 산화반응을 유발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여러가지 질환의 원인이 됩니다.
다양한 만성 질환의 원인으로 지목받고 있는게 당독소입니다. 이러한 산화반응과 염증반응이 계속 반복되면 결국에는 만병의 근원이 될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

그럼 어떤 음식에 많이 들어있을까요?
일반적으로 물에 데치거나 삶은 찜 요리는 최종당화산물(당독소)생성이 휠씬 덜 합니다. 기름에 튀기거나 불에 직화를 한 음식은 물에 데치거나 찐 음식에 비해 당독소가 100배 이상까지 만들어진다고 합니다.

이러한 당독소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을 5가지 종류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당독소가 많이 들어있는 음식 5가지

1. 직화로 구운 고기류

- 특히 베이컨, 치킨, 스테이크, 햄버거 등이 있습니다. 베이컨의 경우 가장 높은 수치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2. 지방이 많은 음식

- 생 잣, 크림치즈, 구운 캐슈넛, 구운 호두, 땅콩버터 등이 있습니다.

3. 마시는 지방이 많은 음식

- 참기름, 올리브 기름, 땅콩기름, 카놀라유, 목화씨 오일

4. 탄수화물류

- 감지튀김, 비스코티, 그레놀라 땅콩버터 바, 감지칩, 구운와플 등입니다.

5. 탄수화물+지방+단백질

- 햄버거, 크러스트 피자, 치즈넣은 샌드위치 등 입니다.

그외

- 콜라, 와인, 위스키, 케첩, 마스타드 소슥, 발사믹 식초 등 입니다.

 


당독소를 줄이는 방법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고기를 구울때 식초에 잠시 담궈두거나, 레몬즙을 뿌려먹는 것이 좋습니다.
구워먹는 것보다 찌거나 삶은 것을 추천합니다.
과장 섭취를 줄이는게 관건입니다.
간혈적 단식과 저탄고지를 습관화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리몸에 인슐린 저항성 민감도를 높이고, 탄수화물과 당수치가 높아지는 걸 막아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도움되는 영양제는?

1.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키는 영양제

2. 항산화 성분과 항영증 성분의 영양제


장내 환경에 따라서 당독소의 흡수가 결정되니, 식이섬유와 유산균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오메가3, 마그네슘, 비타민 B군, 식이섬유, 유산균, 항산화제를 드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많은 영양제보다 생활습관을 교정해 먹는것 신경쓰는게 휠씬 더 도움이 될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혈관을 딱딱하게 만드는 이유와 예방방법, 그리고 도움이 될만한 영양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혈관문제라고해서 꼭 연세가 지긋한 분들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닌 모두의 문제입니다. 평소 식습관이 좋지않다면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먹는 것을 신경쓰시는 게 좋으니, 내일부터라도 조금씩 신경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

추천 글